반응형
L1캐시는 명령캐시(CPU명령어가 저장되는 곳)과 데이터캐시(데이터가 저장되는곳)로 나누어진다.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가 적재되는 L1캐시 메모리가 큰 경우 단일작업에 아주 탁월하다. 반면, L2캐시가 크다면 그만큼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므로 멀티태스킹 작업에 유리하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가 적재되는 L1캐시 메모리가 큰 경우 단일작업에 아주 탁월하다. 반면, L2캐시가 크다면 그만큼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므로 멀티태스킹 작업에 유리하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내부 캐쉬는 기본 캐쉬 혹은 레벨1(Level 1) 캐쉬라고도 불리우며 외부캐쉬는 2차 캐쉬, 혹은 레벨2(Level 2)라고도 일반적으로 불리어 진다
펜티엄의 L1캐시의 경우 L1 명령어 캐시와 L1 데이타 캐시를 따로 두고 있는데, 이는 펜티엄 프로세서가 슈퍼 스칼라 방식으로 명령어를 병렬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캐시의 경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슈퍼 스칼라 방식의 명령어 처리 방식에서는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명령어를 가져오고자 하는 요구와 데이터를 읽어오고자 하는 요청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고 이때 명령어 캐시와 데이터 캐시를 다로 두지 않는다면 어느 한쪽에서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펜티엄에서 L1 캐시가 명령어와 데이터로 분리된 이유는 이전에도 알아보았던 데이터/명령어 패칭시 병목현상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SRAM - Static Random Access Memory(스테이틱 랜덤 엑세스 메모리)의 약자. 캐쉬 모듈 위에서 사용되는 메모리칩으로 DRAM보다 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비싸다.
태그(Tag) -CPU의 주소 메모리 비트의 부분적 집합으로, 연결된 중앙 기억 장치의 위치를 캐쉬 디렉토리 란의 태그 비트를 통해 확인하는 데 이용된다.
태그 램(Tag Ram) - 캐쉬는 일반적으로 두가지 섹션으로 나뉜다. 이 중 Tag Ram 섹션은 캐쉬 안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태그 주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실질적 데이터나 명령어를 저장하는 데이터 RAM 섹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재기록(Write Back 혹은 Copy Back) 작업 - 캐쉬에 기록된 데이터는 캐쉬 내부의 관련 라인이 생성 될 때까지 중앙 기억 장치에 기록이 되지 않는다.
직접 기록(Write Through) - CPU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정보 연결의 일관성을 위해 바로 cache와 중앙 기억 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기술
출처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B%AA%85%EB%A0%B9%20%EC%BA%90%EC%89%AC%20%EB%8D%B0%EC%9D%B4%ED%83%80%20%EC%BA%90%EC%89%AC&source=web&cd=7&ved=0CHEQFjAG&url=http%3A%2F%2Fwww.iamroot.org%2Fxe%2F%3Fmodule%3Dfile%26act%3DprocFileDownload%26file_srl%3D52295%26sid%3Dbf4210f4e0c8a5397ea066a1da84a556&ei=tQQYT7nNJ4nomAWV6YmpCg&usg=AFQjCNHzXfvt9dI1H4_UwrG0Em_hZQbnzA&cad=rjt
http://geundi.tistory.com/63
http://youni.biz/technote01/board.php?board=tag&page=6&command=body&no=161&PHPSESSID=d905ab18a5c03e3cc4d87e113d55f2d4
반응형
'나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troGrep 프로그램으로 파일내의 텍스트 검색 (0) | 2012.01.20 |
---|---|
ARM의 Thumb Mode (1) | 2012.01.19 |
arm guide (1) | 2012.01.19 |
asm("nop") (1) | 2012.01.19 |
MFC, API 해당파일 속성변경하기 SetFileAttributes( ,); (0) | 2012.01.18 |